동일한 행동의 반복과 공간정리

인간의 고유함은 동일한 행동의 반복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누구나가 동의하는 명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일반복의 행동은 습관이기도 하기에 적어도 그 사람의 삶의 한 단면을 보여 줄 수 있다는 점은 부인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바다는 하루에 파도를 35만 번을 들고 나고, 꿀벌은 꿀 1kg을 모으기 위해
650만 번을 날아올라야 한다. 고 합니다.
반복된 행동이 삶이되고 그 결과를 이루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입니다.

어느 시인은

‘썩지 않기 위해 제 몸에 소금을 뿌리고
움직이는 바다를 보아라!
잠들어 죽지 않기 위해
제 머리를 바위에 부딪치고 출렁이는
바다를 보아라!
그런 자만이 마침내 뜨거운
해를 낳는다.’ 고 토로 했습니다.

어쩌면 인간은 동일한 반복이 주는 성과가
나를 표현하는 결과 일 수도 있겠습니다.

공신 닷컴 강성태 대표는
반복을 통한 습관과 공부에 대한 강연에서 66일간의 반복원칙을 제시했습니다.
게임과 공부를 비교하면서 공부는 보여 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천이 어렵다는 말을 했습니다.
대신 게임이 흥미를 끄는 이유는 레벨 때문이라고 했지요.
레벨의 상승이 보상으로 작용하고 그것을 직접 확인하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게임에 빠져 들어간다. 것입니다.
공감이가는 얘기입니다.

게임에 레벨 향상 있다면 공간정리 큐레이팅도 동일반복으로 습관으로 형성될 때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게임의 레벨이 반복된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지듯이
우리가 얻고자 하는 목표는 동일한 반복을 통해서 향상되는 힘으로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복 전제 조건 중에 하나가 내가 하는 일이 점점 향상되어 가는 것을 느끼는 것입니다.

공간정리의 반복된 행동으로 나의 삶의 공간과 생활의 레벨이 향상되어가는 행복을 체험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